새소식

기타

MAC 주소란?

  • -

MAC 주소란?

MAC 주소(Media Access Control Address)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예: Wi-Fi 칩, 이더넷 포트)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자이다.
데이터 링크 계층(Layer 2)에서 로컬 네트워크(LAN) 내에서 기기를 식별하고,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.
애플의 mac과는 전혀 상관 없다. 애플에서는 혼동되지 않도록 mac 주소를 프로토콜 주소(Ex. 와이파이 주소) 같은 식으로 표기한다.


MAC 주소의 특징

  • 형식: 48비트(6바이트) 16진수. 예: AA:BB:CC:DD:EE:FF
    • 앞 24비트: OUI(제조사 고유 ID) — 예: 삼성, 애플 등
    • 뒤 24비트: 제조사가 임의로 지정하는 고유 번호
  • 고유성:
    총 가능한 조합: 2^48 ≈ 281조 개 → 전 세계 기기 수 충분히 커버
    제조사 실수로 중복될 수 있으나 매우 드묾
  • 고정성:
   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에 고정되지만, 소프트웨어로 스푸핑하거나
    랜덤 MAC 주소(브라우저 시크릿모드 등)로 변경 가능
  • 사용 범위:
    LAN 내 통신에서만 사용됨. 인터넷 같은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사용되지 않음

MAC 주소의 역할

📍 기기 식별

  •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기기를 구별
  • 예: 스마트폰(MAC: AA:BB...)과 노트북(MAC: 11:22...)을 정확히 식별

📍 데이터 프레임 전달

  • 프레임 단위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송/수신 MAC 주소가 포함됨
  • 공유기나 스위치는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전달

📍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  • IP 주소 → MAC 주소로 변환
  • 예: 192.168.1.100에 데이터 전송 시 해당 IP의 MAC 주소 조회

📍 네트워크 보안 및 관리

  • MAC 필터링: 특정 MAC 주소만 Wi-Fi 접속 허용
  • 관리자가 MAC 기반으로 사용자 추적 및 접속 제어

MAC 주소와 IP 주소

구분 MAC 주소 IP 주소
역할 LAN 내 기기 식별 네트워크 간 통신 위치 식별
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(Layer 2) 네트워크 계층 (Layer 3)
부여 시점 제조 시 하드웨어에 고정 네트워크 연결 시 DHCP/수동 할당
변경 가능성 스푸핑 등으로 가능 자주 변경 가능 (DHCP 등)
사용 범위 로컬 네트워크(LAN) 인터넷 포함 전 범위

MAC 주소와 Wi-Fi 공유기의 역할

Wi-Fi 공유기는 Layer 2Layer 3를 동시에 처리합니다.

🧱 Layer 2 (MAC 기반 내부 통신)

  • MAC 주소 기반 프레임 포워딩
  • ARP 테이블을 통해 IP ↔ MAC 변환
  • 클라이언트 간 직접 통신도 MAC 주소로 처리

🌐 Layer 3 (IP 기반 외부 통신)

  • DHCP로 IP 주소 할당
  • NAT로 내부 IP ↔ 외부 공인 IP 변환
  • 라우팅 기능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

실전 예시 – 웹사이트 로딩 시 MAC 주소의 역할

  1. 브라우저 → 웹 서버로 HTTP 요청
  2. 공유기 →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로 요청 수신
  3. NAT 처리 후 인터넷으로 전달
  4. 웹 서버 응답 → 공유기 → 클라이언트 MAC 주소로 전달

주요 질문 정리

  • MAC 주소는 왜 필요할까?
    → 로컬 네트워크에서 실제 기기를 식별해야 하므로 필수
  • 바뀔 수 있나?
    → 기본은 고정이지만 스푸핑, 프라이버시 보호 목적으로 변경 가능
  • 겹치면 어떻게 되나?
    → 이론적으로 가능, 실제로는 ARP 혼선 → 데이터 오작동 가능성
  • 어떻게 확인하나?
    • arp -a (로컬 ARP 테이블 확인)
    • 라우터 관리자 페이지
    • Fing, Nmap, Wireshark 등 툴 활용

결론

MAC 주소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기기를 물리적으로 식별하고
데이터 전달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필수 요소이다.

  • IP 주소는 "어디로" 보낼지를 결정
  • MAC 주소는 "누구에게" 보낼지를 결정

간단하게 비유를 하자면

네트워크 = 회사
MAC 주소 = 직원의 사번
-   사번은 입사 시 부여되는 고유 ID, 바뀌지 않음
-   그 직원이 누구인지 회사 내에서 항상 이 번호로 식별
IP 주소 = 좌석 번호
-   직원이 매일 같은 자리에 앉지 않을 수도 있고, 부서 이동 시 자리를 바꿈
-   위치는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며, 그날 그 순간만 유효
ARP = 좌석배치도  
-   누가 어느 자리에 앉아 있는지 알려주는 배치표
-   “사번 1234번 직원이 지금 5번 좌석에 앉아 있음”
공유기 = 부서 관리자
-   부서 간 문서를 전달하거나 전화 연결 등 소통 중개자 역할
-   사람 이름이나 부서가 아니라 사번으로 정확히 찾아 연결

인 셈이다.

반응형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